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969

우리 몸의 주요 동맥을 보세요. 먼저 동맥과 정맥을 알려 드리지요. 동맥이냐 정맥이냐는 심장을 기준으로 이름 붙여져요. 심장에서 온몸을 향해 나오는 혈액이 흐르는 혈관은 동맥이고요. 온몸에서 심장으로 들어가는 혈액이 흐르는 혈관은 정맥이래요. 동맥피냐 정맥피냐는 허파를 기준으로 해요. 허파에서 나오는 혈액은 동맥피.. 2004. 9. 29.
우린 왜 설사를 하고 변비에 걸릴가요? 그림을 보면 우리가 고형분을 1kg 과 물 1.5 리터를 마셧을 때 침이 1.5 리터. 쓸개즙(담즙)이 0.5리터, 위액이 2,5 리터, 이자액(취액)이 1.5 리터, 소장에서의 장액이 1.5 리터가 나오니 이들 소화액을 모두 합쳐서 8.5 리터가 나오네요. 여기에 마신 물 1.5 리터를 합하면 9 리터가 되어요. 그림의 소장 부분을 .. 2004. 9. 28.
음식이 목으로 넘어 갈 때에 기관 입구를 막는 이유는? 그림을 A →B→ C→ D 순으로 보면 우리가 먹은 침과 범벅이 되고 씹혀진 식과가 목구멍을 통과하면서 끝이 위로 뻗쳐있는 후두개를 자동으로 아래로 내려 기관 입구를 막으면서 식도로 들어간다. 식괴란 우리가 한입 먹은 음식이 씹혀지고 침과 범벅이 되어 이미 음식이 아닌 상태이므로 보통 그걸 식.. 2004. 9. 25.
우리 몸이 팔등신이 되기까지.... 두달이 넘은 즉 9주인 태아의 머리는 몸 길이의 절반 즉 1/2 이다. 2등신이다. 우리 몸을 다스리는 뇌가 맨 먼저 자라고는 나머지가 자라기 때문이다. 신생아의 머리는 몸 전체의 1/4이다. 4등신이다. 그러나 22살이 되면은 머리는 1/8 이 된다. 22살 짜리 그림을 보면 4 등분을 해 놓았는데 다시 8등분을 하면.. 2004. 9. 22.
우리가 막 태어 났을 때의 골격구조는? 어른과 비교 신생아란 생후 한달간을 말해요. 즉 4주간이지요. 생후 두달째 부터 두돌까지는 유아라고 해요. 우리들의 조상님들은 생후 일주일을 이례라고 하였지요. 3주일이 지나면 삼칠일이라고 했어요. 삼칠일이 지나기 전에는 외부인을 출입금지 시켰지요. 귀하면 일곱이례를 치루었어요. 즉 7주간을 외부인 .. 2004. 9. 21.
믿음직 스러운 우리들의 골격 구조를 보아요. <앞에서 본 골격구조> 무서운가요? 바로 우리들의 골격구조에요. 우리들의 몸의 맨 겉에 포장 된 피부를 벗겨내고 그 속에 있는 살을 발라내면 이렇게 골격이 나타나지요. 머리 부분만 빼고 나면 무섭지 않아요. 위에서 부터 슬슬 볼까요? "두개"란 머리뼈지요. "안와"란 눈구덩이를 말해요. 눈알이 .. 2004. 9. 18.
우리가 콧구멍을 좁히고 넓힐 수 있는 근육을 보아요. 코만 움직여 보아요. 안되지요. 코를 움직일려면 얼굴에 있는 온갖 근육을 다 작용시켜야 되어요. 다른 동물들은 코를 움직일 수도 있지만 우린 그러지를 못해요. 그림에서 보면 비근이 보이지요. 비근에는 윗턱뼈에서 출발하여 콧등으로 뻗어 정지하는 횡부와 비익으로 가는 익부가 이어요. 우린 콧구멍이 둘이지요. 우리에게 콧구멍이 두개로 되도록 만들어 주는 것은 콧구멍 사이에 있는 비중격이에요. 콧속에 들어 있어 그림에는 나타나지 않지만 비중격하체근은 윗턱뼈에서 출발하여 비중격에 붙는 근육이에요. 콧구멍을 넓히려면 비근의 익부와 비중격하체근이 작용을 해요. 콧구멍을 좁히려면 비근의 횡부가 작용해요. 2004. 9. 17.
저작근(씹는 근)을 보실래요.→어떻게 씹힐까요? 교근은 하악골을 위로 당겨 주어요. 측두근은 하악골을 윗쪽과 뒷쪽으로 당겨 주어요. 하악골은 아랫턱뼈를 말해요. 내측익돌근은 하악골을 윗쪽으로 당겨 주고 한쪽만 작동할 때는 반대쪽으로 움직여요. 외측익돌근은 하악골을 앞으로 당겨 주어요. 내외측돌근이 같이 작용하면 관절두를 축으로 하.. 2004. 9. 15.
숲 속에 사시는 아저씨!에게 고기 잡는 아저씨! 산에는 울긋불긋 단풍들 앞 냇물에선 고기 잡이 집 뒤의 노란 은행나무 은행이 주렁주렁 열렸나요? 은행을 물 속에 담갔다가 통통 불거들랑 포대에 넣고서 마구 밟아서 냇물에 헹구어 살껍질을 다 벗겨내면 은행이 하얀 딱딱한 껍질을 뒤집어 쓰고 웃지요. 그 은행알을 다시 벗기면 .. 2004.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