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969

부갑상선의 위치와 혈액에 칼슘을 공급하는 파라트로몬 먼저 부갑상선은 뇌하수체의 조절을 받지 않아요. 부갑상선의 위치는 갑상선 뒤쪽에 있어요. 그림에서 보이듯이 … 그림을 보아요 보너스를 드릴테니가요. 기도와 식도가 보이네요. 그림은 뒤쪽의 목을 그린 거에요. 식도가 앞에 있고 그 뒤쪽에 기도가 있네요. 그러나 몸 앞쪽에서 보면 기도가 앞에 .. 2004. 10. 21.
갑상선 호르몬인 티록신은 어떻게 체온조절을 할가요? 갑상선 호르몬인 티록신은 어떻게 체온조절을 할가요? 우린 추워지면 그냥 덜덜 떨려요. 왜 떨릴가요? 그건 근육을 운동을 시켜서 열 생산을 증가시키기 위한 체온조절 중추의 명령 때문이지요. 우린 추어지면 소름살이 되어요. 소름살? 닭살? 털이 곤두서고 피부가 욽툭불툭 되는 살? 왜 .. 2004. 10. 20.
갑상선의 위치와 갑상선에서 만든 티록신의 작용 갑상선의 위치와 갑상선에서 만든 티록신의 작용 그림에서 보이듯이 갑상선은 후두의 아래, 기관의 상부에 나비모양으로 있어요. 무게가 20~30g 으로 큰 내분비선이지요. 목밑에 있다하여 목밑샘이라고도 부르지요. “갑상”이란 방패 모양이란 뜻이래요. 갑상선 안에는 많은 소포들이 있.. 2004. 10. 19.
성장호르몬은 우리를 어떻게 성장 시키 는가 시상하부에서 성장호르몬방출(유리)호르몬을 생산하지요. 이 호르몬은 시상하부와 뇌히수체를 연결하는 문맥을 따라 뇌하수체 전엽으로 내려와요. 뇌하수체 전엽에서는 성장호르몬을 생산하지요. 그럼 이 호르몬도 역시 전엽에 많이 뻗어 있는 혈관 속으로 들어가 온몸으로 흘러가요. 성장호르몬을 .. 2004. 10. 18.
뇌하수체는 시상하부의 명령으로 호르몬을 생산해요 어때요. 뇌하수체 모양을 몇번 보시니까 그림만 보셔도 뇌하수체 생각 나시지 않으시나요. 그림에서 1,2,3,4,..는 신경을 표시해요. 붉은색은 동맥이고요. 푸른색은 정맥이에요. 검은색은 신경이지요. 뇌하수체가 우리 몸의 호르몬샘들을 다스리는 총사령관이라면 뇌하수체를 다스리는 윗전은 시상하부.. 2004. 10. 17.
뇌하수체가 생산한 호르몬과 표적기관들 . 조금 딱딱 하셔도 앞으로의 호르몬 공부를 위해서 읽어 두세요. 워낙 딱딱하다 생각되시면 그냥 슬적 눈으로만 지나가세요. 앞글에서 머리에 뇌하수체 표시가 있을 거에요. 그걸 확대한 그림입니다. 위의 그림은 뇌하수체의 전체 모습입니다. 뇌하수체는 전염,중엽,후엽으로 나누어져요. 여기서는 .. 2004. 10. 16.
우리 몸의 호르몬샘(내분비선)을 보셔요 . 호르몬을 생산해 내는 분비샘을 내분비샘이라고 하는 이유는 관이 없이 그자리에 분비하면 농도 차이로 흘러흘러 정맥 속으로 들어가 혈액 따라 흐르다가 표적기관에 다다르면 표적기관의 세포들이 잘 만났다고 자신에게 필요한 호르몬을 끌여 들여서는 요긴하게 사용해요. 내분비선과는 반대로 .. 2004. 10. 15.
우리는 왜 오줌을 몸밖으로 버려야 하는가? 우리는 왜 오줌을 몸밖으로 버려야 하는가? 우리는 하루에 1,5ml의 소변을 배설해요. 소변의 양은 섭취하는 수분의 양과 땀의 양에 따라 변화 해요. 물을 많이 마시면 소변이 많이 나오고 땀을 많이 흘리면 오줌양이 줄어들어요. 물을 적게 마셔도 오줌양이 줄어요. 소변색은 보통 밀집색깔.. 2004. 10. 14.
오줌 생산 두번째 단계 →세뇨관에서의 오줌 만들기 그림은 하나의 네프론의 모습을 그린 거에요. 우리 몸통 속을 위아래로 관통하는 대동맥에서 가지쳐 나온 신동맥이 신장 속으로 들어가 무수히 가지치면서 피질부에 도착해요. 피질부에 도착한 동맥들은 다시 일백만개 이상의 소엽간동맥으로 나누어지지요. 이들은 피질부에 있는 말피기소체 앞에서.. 2004. 10.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