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생연 출판사/임광자책 초고맛보기

밤에 잠자게 하는 송과체(松科體:솔방울샘)

by 임광자 2017. 10. 24.

밤에 잠자게 하는 송과체(松科體:솔방울샘)

 

할머니! 무엇이 우릴 밤에 잠들게 해요?”

머리 가운데 있는 송과체지.”

송과체요?”

솔방울 모양이라고 송과체, 송과샘, 솔방울샘이라고 해.”

어떻게 잠들게 해요?”

이곳에서는 빛을 볼 수 있어.”

머릿속에서 어떻게 빛을 봐요?”

머리 피부를 통해서 들어오는 빛을 본다는 이야기도 있고.”

다른 곳에서도 빛을 받나요?”

간뇌의 시신경 교차핵에서 빛을 받는다는 이야기도 있고.”

망막에서 빛을 받는 다는 이야기도 있어.”

어떤 경로로든 빛을 받는군요.”

() 수용체, 즉 빛 수용체로 생체리듬을 조절해.”

생체리듬을 어떻게 조절해요?”

"생체리듬이요?"

"밤에는 자고 낮에는 활동하도록 하니 생체리듬을 조절한다고 해."

"밤에 어떻게 잠들게 해요?"

이곳에서는 잠들게 하는 호르몬을 만들어내.”

잠자는 호르몬이요?”

멜라토닌 호르몬이 우릴 잠들게 해.”

멜라토닌이 어떻게 우릴 잠들게 해요?”

어두워서 빛이 송과체로 들어오지 않으면 멜라토닌을 생산해.”

깜깜해지면 멜라토닌이 분비되어 우리가 잠드는군요.”

멜라토닌은 우릴 잠들게 하고 잘 때 체온을 낮게 해줘.”

우리가 아침에 일어나는 것은요?”

빛이 송과체로 들어가면 멜라토닌이 만들어지지 않아.”

멜라토닌 양이 작아지면 잠에서 깨는군요.”

잠에서 깨서 활동하게 하는 호르몬은 세로토닌이야.”

세로토닌은 어떻게 만들어져요?”

빛을 받고 뇌에서 만들어.”

"밤에 제대로 잘려면 어두워야 하겠네요?"

"그래서 안대를 하지."

밤이 되면 멜라토닌이 많아져 잠들고 아침이 되면 멜라토닌이 적어지고 세로토닌이 많아져 잠에서 깨어나 활동을 시작하는군요.”

 

★위 글은 금년 말에 나올 "우리 몸의 비밀을 찾아서" 시리즈 7권- "신경은 우리 몸을 어떻게 다스릴까?" 책에 나올 원고 일부분이다.

 

★제가 지은 책을 구매하고 싶으시면 클맄! http://blog.daum.net/limkj0118/13745713

 

 ★ 질문은 참았다가, 책에는 더 자세히 나오니 책을 본 후에 하세요.

사업자 정보 표시
사업자 등록번호 : -- | TEL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