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의 구조-듣기감각, 평형감각
귀는 각 부분의 위치에 따라 세부분으로 나누어져요.
겉귀(외이)에는 귓바퀴와 귓구멍이 있어요.
귓바퀴는 음파를 모으는 역할을 하는데
움직이는 사람도 있어요.
귓구멍은 음파의 통로로 털이 있고
점액이 나와서 지나는 공기 속의 먼지와 세균을
붙잡아서 귀이지를 만들어요.
가운데귀에는 귀청과 청소골과 유스타키오관이 있어요.
귀청(고막)은 음파가 와서 때리면 진동을 하고
질긴 근육으로 되었으며 충격을 받으면 찢어져요.
큰 소리를 지르면 “고막 찢어진다!” 그러지요.
청소골은 세 개의 뼈로 이루어지고
첫 번째 뼈가 고막에 붙어있어
고막이 진동하면 바로 받아서 증폭조절을 하여
마이크 역할을 해요.
유스타키오관은 청소골이 있는 부분과 입속이
통하는 관으로서 고막이 귓구멍을 막고 있어
청소골이 있는 곳에 공기가 없어
입속의 공기를 이곳에 넣어주는 관으로
고막 바깥과 안쪽의 기압 조절을 해요.
갑자기 높은 산에 올라가면 귀가 멍멍해지는 것은
겉귀와 가운데귀의 기압에 차이가 나기 때문이지요.
속귀에는 달팽이관, 전정기관, 세반고리관이 있어요.
달팽이관은 듣기 감각을 맡고
전정기관은 위치감각을 맡고
세반고리관은 회전감각을 맡아
위치감각과 회전감각을 평형감각이라 하지요.
달팽이관 속에는 림프로 차 있고 청세포가 있고
난원창과 정원창이 있어요.
청소골의 세뼈 중에서 가장 안쪽에 있는 등자뼈가
난원창에 붙어서 등자뼈의 진동이 바로 난원창에
전달되고 난원창의 진동은 림프에 전달되어
파도를 일으켜 청세포의 섬모가 움직여
청세포가 흥분을 하여 청신경에게 흥분을 전달하고
청신경은 대뇌로 전달하면 대뇌에서 무슨 소리인지
누구의 소리인지 처음 듣는 소리인지 등을 우리에게
알려 주어요.
참 림프를 출렁이게 한 진동은 정원창으로 빠져
유스타키오관을 따라 입속으로 빠져요.
세반고리관은 세 개의 반고리관으로 되었고
속에는 림프의 차 있고 섬모를 가진 세포가 있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위치하여
우리의 몸의 회전에 따라 림프의 흐름이 달라져
그 속의 섬모가 움직여 회전감각세포를 흥분시키고
전정신경을 따라 대뇌로 보내져 위치를 알게 해 주지요.
전정기관 속에는 섬모 위에 평형석이 있어
우리의 몸의 기울기에 따라 평형석이 기울고
그 아래 섬모가 자극을 받고 그 아래 전정세포가
흥분을 하여 전정신경으로 보내 대뇌로 전달하면
우린 위치 감각을 느끼게 되어요.
어쩌다가 평형석이 제 자리를 이탈하면
우린 어지럼증을 일으켜요.
★2010. 04.08. 林 光子, 2017년 9월 18일 다시 올림.
★올 말까지 우리 몸의 비밀을 찾아서 시리즈 7권 "신경은 우리 몸을 어떻게 다스릴까?" 책을 낼 생각이다. 지금은 책의 줄거리를 두서없이 생각나는 대로 잡고 있다. 여기에 올리는 글은 옛날에 올린 글도 있고 최근에 올리는 글도 있지만 줄거리 초고라 자주 수정된다. 책에서는 대화체로 자세하게 풀어 쓴다.
★제가 지은 책을 구매하고 싶으시면 클맄! http://blog.daum.net/limkj0118/13745713
'생생연 출판사 > 임광자책 초고맛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속 돌면 어지러운 것은? (0) | 2017.09.24 |
---|---|
헛발을 딛으면 반대로 몸이 기운다 왜 그럴까? (0) | 2017.09.20 |
대뇌는 눈에서 받은 정보를 다각도로 판단하여 알려준다. (0) | 2017.09.16 |
우리는 어떤 경로로 볼 수 있게 되는가? (0) | 2017.09.11 |
잔상으로 빗방울을 빗줄기로 보고 영화를 즐긴다. (0) | 2017.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