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생연 교재자료/생태계

우리와 식물의 호흡은 어떻게 다를까?

by 임광자 2010. 7. 20.

 

 

 

우리와 식물의 호흡은 어떻게 다를까?


우린 밤낮으로 호흡을 한다.

우리는 움직이고, 오장육부를 가동시키고, 생각을 많이 하기 때문에 에너지가 엄청 많이 필요하다. 우리가 사용하는 에너지는 호흡으로 얻어진다. 즉 우리가 호흡하는 목적은 에너지를 얻기 위해서다.

허파에서는 혈액에 산소를 넣는 일을 하고, 혈액에 실려 세포로 들어간 산소는 우리가 음식으로 섭취한 영양소를 태워서 에너지를 생산한다.

우리는, 우리 몸에 필요한 영양소를 스스로 만들 수가 없어 오직 음식으로 섭취를 해서 온몸의 세포들에게 공급하면 세포들이 알아서 우리의 삶을 유지 시킨다. 그래서 우린 식물에게 없는 오장육부를 가진다. 거기다가 팔다리를 움직여야 하니 더욱 많은 에너지가 필요해서 먹는 것도 필요한 것도 많아 부지런히 움직여서 돌아다녀야 한다.

 

모든 생물은 호흡으로 에너지를 얻는다.

식물은 호흡의 원료를 스스로 만들어 사용한다.

동물과 미생물은 먹이에서 호흡의 원료를 얻는다.

 


식물은 무기물을 흡수해서 필요한 유기물을 모두 만들어 사용한다. 그냥 한자리에 가만있어도 살아 갈 수 있다.

우리는 무기물과 유기물을 다 필요로 한다.


식물은, 호흡은 밤낮으로 하고 광합성은 빛이 있을 때만 한다.

식물의 뿌리는 호흡만을 한다.

엽록체가 있는 잎이나 줄기 그리고 열매 등에서는 빛이 있으면 광합성을 한다. 엽록체는 녹색이다.

호흡을 할 때는 산소가 사용되고 이산화탄소가 부산물로 떨어진다.

광합성을 할 때는 이산화탄소가 사용되고 산소가 부산물로 떨어진다.

호흡과 광합성은 반대다.


녹색 잎은 빛이 없는 밤에는 우리처럼 숨만을 쉬어서 기공으로 이산화탄소가 나오고 공기 중의 산소가 들어간다.

그러나 빛이 비치기 시작하면 광합성이 시작되어 기공으로 드나드는 산소와 이산화탄소가 줄어든다.

왜냐하면 광합성으로 나오는 산소가 바로 호흡으로 이용되어 기공으로 나오는 양이 줄어들고, 호흡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는 바로 광합성으로 이용되기 때문에 기공으로 들어가는 양이 적어진다.

아침 일찍, 저녁 무렵, 구름 있는 날에는 호흡과 광합성양이 같아서 기공으로 산소도 이산화탄소도 나오지 않을 때가 있다. 식물이 숨을 멈춘다.


사람들은 흔히 말한다.

빛이 없는 밤에 숲속에 가면 산소가 적을 거라고. 그건 오해다.

식물은 우리처럼 움직이지 않고 오장육부도 없어서 호흡양이 아주 적어서 산소를 조금 사용한다.

빛이 쨍쨍 할 때 광합성 양은 엄청나서 산소를 많이 내 뿜는다.

그래서 숲에 가면 우린 산소를 많이 흡수해서 에너지 생산양이 많아서 피로가 적다.

공기 중의 산소는 엽록체가 광합성으로 내어 놓는다.

나무가 많은 곳의 공기는 산소가 풍부하다.

우리 들숨으로 허파에서 공기 중의 산소를 혈액 속에 넣는다.

그래서 사람들은 나무가 울창한 곳 아마존의 밀림지대를 지구의 허파라고 하고 북한산을 서울의 허파라고 한다.


밤낮을 가리지 않고 숲에 가면 산소가 풍부하다.

공기를 맑게 하려면 나무를 곳곳에 심어야 한다.

초목이 무성할수록 공기는 맑아진다.

그래서 숲속에는 산소가 많다. 


2010.07.20.  林 光子



사업자 정보 표시
사업자 등록번호 : -- | TEL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