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 인체이야기216 사람은 사람을 낳고 개는 강아지를 낳는 이유 사람은 꼭 사람을 낳고, 개는 강아지를 낳고, 소는 송아지를 낳고,돼지는 돼야지를 낳는다. 왜 그럴 수 있을까 궁금하다. 자연상태에서는 꼭 그렇게 이루어진다. 돌연변이가 잘 일어나지 않는다. 모든 종(種)은 종 특유의 DNA의 짜임을 가지고 있다. 그건 종마다 조금씩 다르다. 종이 멀수록 DNA의 짜임이 .. 2006. 2. 9. 우리들의 모습이 다양한 이유는......... 진도개를 본 일이 있다면 그 모습이 같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진도개는 순종으로서 형재자매와 결혼을 한다. 그래서 그 모습이 같은 것이다. 사람들의 모습은 똑 같은 모습은 단 한 사람도 없다. 일란성 쌍둥이를 빼 놓고는..... 사람들은 친척끼리는 결혼을 하지 않는다. 친척이 아닌 타성끼리 결혼을.. 2006. 2. 8. 대립형질(대립유전자)은 양친의 정자와 난자로부터 온다. 세포는 둘로 나누어지기 전에 반드시 DNA 복제가 일어난다. 즉 DNA의 양을 두 배로 증가시킨다. 그래야 세포가 분열하여 둘로 되었을 때 분열하기 전과 똑 같은 DNA양을 가질 수가 있다. 그런데 생식세포가 만들어질 때는 두 번 분열을 해서 염색체 수도 반으로 줄고 DNA양도 반으로 줄어든다. 그래서 생식.. 2006. 2. 7. 내가 직접 만든 소의 난자의 감수분열 사진 여기에 나온 사진은 내가 직접 실험기구를 모두 씻고 말리고, 배양액을 만들고, 마장동에 가서 소의 난소를 얻어다 해부 현미경 아래에서 미성숙 난자를 꺼내서, 실험기구에 넣어 배양액을 넣고서 배양을 시켜서, 프레파라트를 만들어 염색을 하고, 현미경 사진을 찍어서 암실에서 현상.. 2006. 2. 6. 유전자의 본체 →DNA→염색사→염색체, 이들은 무엇들일까 생물들의 모양 크기 색깔 등의 특징을 형질이라고 한다. 유전형질은 조상으로부터 물러 받은 것이다. 환경에 의해서 나타나는 개체변이는 유전이 아니다. 유전형질에는 두개의 유전자가 잇다. 두개는 각각 부모로부터 온다. 어머니의 난자를 통해서 하나가 오고, 아버지의 정자를 통해서 하나가 온다... 2006. 2. 5. 표현형과 유전자형 완두콩을 보았을 때 둥근 것과 주름진 것이 있다. 완두콩이 둥글고 주름진 것이 바로 표현형이다. 우리 눈으로 보았을 때 보이는 것이 바로 표현형이다. 둥근 완두콩이나 주름진 완두콩의 꽃들은 자가수분 하므로 암술머리는 품종이 다른 꽃가루를 밑씨에게 보내지 않으므로 자연 상태에서는 둥근 완.. 2006. 2. 4. 코렌스의 중간 유전 1903년에 코렌스는 붉은 분꽃과 흰 분꽃을 타가수분 시켰다. 그리고 꽃봉오리를 밀봉 시켰다. 여기서 타가수분이란 붉은 분꽃의 꽃가루를 흰 분꽃의 암술머리에 인공수분 시키고, 흰 분꽃의 꽃가루를 붉은 분꽃의 암술머리에 인공수분 시켰다, 꽃가루를 인공수분 시킬 때는 붓을 사용한다. 꽃이 지고 .. 2006. 2. 3. 멘델이 유전학의 아버지가 되다. 멘델은 운이 좋았을까 아님 머리가 좋았을까 어느쪽이었을까? 멘델이 유전물질 즉 유전자란 개념을 증명한 멘델의 법칙이 가능 하였던 것은 바로 완두 콩은 자가수분(自家受粉)을 하고 대립형질이 뚜렷했기에 그런 좋은 결과를 나타냈다. 자가수분이란 한 꽃 속에 암술과 수술이 있어 끼리 끼리 수분(.. 2006. 2. 2. 멘델은 “언젠가는 내 세상이 올 것이다” 유언을 남기고..... 유전학의 아버지 멘델은 참으로 가난하게 살았다. 너무 가난하여 공부를 계속 할 수 없었는데 그의 여동생이 결혼 지참금을 그에게 주어서 공부를 계속 할 수 있게 해 주었다고 한다. 물론 훗날 그 돈을 멘델이 갚았단다. 그는 수도사가 되어 수도원 뒷뜰에 일곱 가지의 대립형질을 가진 완두콩을 재배.. 2006. 2. 1. 이전 1 ··· 6 7 8 9 10 11 12 ··· 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