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사와 변비는 대장의 수분흡수 양에 따라 결정된다.- 글 중 일부
샛별: 설사는 왜 해요?
할머니: 먼저 우리 몸에서 수분이 나가는 것을 알아보자.
샛별: 우리 몸에서 가장 많이 나가는 수분은 오줌이에요.
할머니: 우리가 하루에 수도 없이 입을 벌려서 말을 한다. 그럴 때면 입 속의 수분이 증발된다. 입 속이 마르지 않는 것은 계속해서 침이 나오기 때문이다.
샛별: 숨 쉴 때도 코로 수분이 증발해요.
할머니: 피부에서도 수분이 증발된다. 그러나 피부는 항상 촉촉하다. 피부가 촉촉한 것은 땀이 나오기 때문이다.
샛별: 대변도 촉촉해요.
할머니: 촉촉한 대변을 만들기 위해서 수분이 소모된다.
샛별: 눈에서도 수분이 증발되어요. 눈을 깜박거리지 않고 오래 뜨고 있다 감으면 눈이 퍽퍽해요.
할머니: 이렇게 우리 몸에서 하루에 나가는 수분의 양이 2ℓ다.
샛별: 그래서 하루에 물을 2ℓ를 먹으라고 권장하나 봐요.
할머니: 우리 몸에서 매일 같이 나가는 수분 즉 물 2ℓ를 보충해 주어야 한다.
'''''''
계속....
이달 말에 출간되는 -우리 몸의 비밀을 찾아서 시리즈 2권-
-왜 우린 먹고 소화시킬까?(소화계)-에서 이어집니다.
2013.10.24. 林光子
사업자 정보 표시
사업자 등록번호 : -- | TEL : --
'생생연 출판사 > 임광자책 초고맛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도 보다 큰 것을 삼킬 수 있는 것은? (0) | 2013.10.30 |
---|---|
소장의 소화된 영양소 흡수 (0) | 2013.10.26 |
대장균과 장내세균 그리고 방귀 냄새 (0) | 2013.10.23 |
맹장 이야기 중 일부 (0) | 2013.10.21 |
쓸개즙의 색깔의 출생과 대변과 소변 색 (0) | 2013.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