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생연 출판사/임광자책 초고맛보기

대뇌는 본능과 학습을 맡는 부분이 다르다.

by 임광자 2017. 10. 31.

대뇌는 본능과 학습을 맡는 부분이 다르다.

 

세나야! 막 태어난 갓난아기가 젖을 빨고 불편하면 울지.”

젖을 빨아야 한다는 것을 어떻게 알까요?”

본능이니까.”

본능은 태어나기 전에 배운 건가요?”

조상 대대로 배운 것을 유전물질로 저장해서 그것이 프로그램화 되어 태어나서 그대로 진행되는 것 같아.”

동물도 그래요.”

바다거북이가 모래 속에서 알에서 깨어나면 바닷물을 찾아 가는 것도 본능이지요.”

철새가 계절 따라 이동하는 것도 본능이지.”

본능은 어디에 존재하나요?”

대뇌의 발달순서를 설명하면서 본능 이야기를 하자구나.”

대뇌가 발달순서가 있나요?”

발달순서에 따라 세부분으로 나누어져.”

어떻게요?”

대뇌의 발달순서는 구피질고피질신피질이야.”

구고신 순서네요.”

구피질과 고피질은 동물들과 같아.”

어떤 일을 하는데요?”

구피질은 쾌감, 불쾌감, 분노 같은 감정에 따른 신체변화를 일으키는 감정 상태를 맡는데 이런 것들을 정동이라고 말해.”

정동이요?”

한문으로 정은 뜻, 을 쓰는데 느끼어 일어나는 마음의 작용이란 뜻이고, 동은 움직일 동 을 써서 두자를 합해 정동(情動)이라해.”

감정으로 움직인다는 뜻이네요.”

맞아.”

고피질은요?”

식욕과 성욕 같은 본능에 관여해.”

구피질과 고피질은 아주 동물적이네요.”

그래서 구피질과 고피질은 모든 동물이 공통으로 가져.”

구피질과 고피질은 사람도 동물과 같다는 거네요?”

맞아. 구피질과 고피질을 변연계라고 해.”

신피질은요?”

태어나면서부터 학습으로 얻어지는 지식을 모두 입력시켜 저장하는 일을 해.”

태어날 때는 아무것도 저장되지 않았나요?”

“신피질은 아무것도 그려지지 않은 하얀 도화지야.”

태어나서 학습되는 것이 그 하얀 도화지에 그려지는 거네요.”

학습을 하면서 어른이 되면 신피질은 어떤 작용을 하나요?”

사람답게 살아갈 수가 있지.”

사람답게 살아 가려면요?”

첫째 언어소통을 해.”

글을 쓰고 읽어요.”

불을 이용해 요리도 해.”

노래도 하고 연극도 하고 영화도 만들어요.”

“기술을 연마해서 문명을 발달시키고, 문화예술을 창조해서 발달시켜지.”

감정이 발달하여 심리작용도 고도로 발달해.”

맞아요. 동물은 단순한 감정을 갖는데 사람은 복잡해요.”

사람만이 기술을 연마해 문명을 발달시키고 나아가 문화를 발전시켜.”

 

 

★위 글은 금년 말에 나올 "우리 몸의 비밀을 찾아서" 시리즈 7권- "신경은 우리 몸을 어떻게 다스릴까?" 책에 나올 원고 일부분이다.

 

★제가 지은 책을 구매하고 싶으시면 클맄! http://blog.daum.net/limkj0118/13745713

 

 ★ 질문은 참았다가, 책에는 더 자세히 나오니 책을 본 후에 하세요.

사업자 정보 표시
사업자 등록번호 : -- | TEL : --

'생생연 출판사 > 임광자책 초고맛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경계의 발달 이야기  (0) 2017.11.04
뇌혈관장벽-뇌혈관관문  (0) 2017.11.01
뇌척수액 이야기  (0) 2017.10.30
뇌실(腦室)  (0) 2017.10.28
뇌 보호 장치-머리통 뼈와 뇌 보호막  (0) 2017.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