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생연 출판사/임광자책 초고맛보기

왜 대뇌는 구피질→고피질→신피질로 발달했을까?

by 임광자 2017. 11. 6.

왜 대뇌는 구피질고피질신피질로 발달했을까?

 

세나야! 막 태어난 갓난아기가 젖을 빨고 불편하면 울지.”

젖을 빨아야 한다는 것을 어떻게 알까요?”

본능이니까.”

본능은 태어나기 전에 배운 건가요?”

조상 대대로 배운 것을 유전물질로 저장해서 그것이 프로그램화 되어 태어나서 그대로 진행되는 것 같아.”

동물도 그래요.”

바다거북이가 모래 속에서 알에서 깨어나면 바닷물을 찾아 가는 것도 본능이지요.”

철새가 계절 따라 이동하는 것도 본능이지.”

본능은 어디에 존재하나요?”

대뇌의 발달순서를 설명하면서 본능 이야기를 하자구나.”

대뇌가 발달순서가 있나요?”

발달순서에 따라 세부분으로 나누어져.”

어떻게요?”

대뇌의 발달순서는 구피질고피질신피질이야.”

구고신 순서네요.”

구피질과 고피질은 동물들과 같아.”

어떤 일을 하는데요?”

구피질과 고피질을 변연계라고 해.

왜 변연계라고 하지요?”

변연계를 한문으로 쓰면 가장자리변,가장자리연.”

가장자리 계통이란 뜻이네요.”

그렇지.”

대뇌에서 신피질 보다 먼저 생긴 곳인데요.”

변연계는 동물들이 공통으로 가진 본능을 맡아 봐.”

어떤 일을 맡는데요?”

먹는 것과 종족보존을 위한 욕구가 채워지면 쾌감을 느끼고 그렇지 못할 때 불쾌감을 느끼는 곳이지.”

정말 동물적이네요.”

그런데 그렇게 살다가 환경에 적응해서 보다 더 나은 삶을 위해서 발달하기 시작한 것이 신피질이라고 봐.”

신피질이 하는 일은요?”

본능으로만 살지 않고 태어나서 변화하는 환경에 대해서 학습한 것을 저장하는 일을 해.”

왜요?”

학습한 것을 본능에 접목해서 보다 나은 결정을 위해서야.”

그럼 신피질은 태어날 때 프로그램이 없는가요?”

아무 것도 들어있지 않는 하얀 도화지야.”

신피질에 무엇을 저장하느냐에 따라 미래가 결정되겠네요.”

그래서 교육이 중요한 거지.”

교육이라면?”

가정교육과 학교교육과 사회교육이 있지.”

평생을 교육을 받는군요.”

그래서 동물 중에서 사람이 가장 신피질이 발달되었지.”

신피질이 발달하였어도 그 주춧돌은 변연계지요.”

아무렴. 변연계가 필요해서 만들어진 것이 신피질이니까.”

 

 

★위 글은 금년 말에 나올 "우리 몸의 비밀을 찾아서" 시리즈 7권- "신경은 우리 몸을 어떻게 다스릴까?" 책에 나올 원고 일부분이다.

 

★제가 지은 책을 구매하고 싶으시면 클맄! http://blog.daum.net/limkj0118/13745713

 

 ★ 질문은 참았다가, 책에는 더 자세히 나오니 책을 본 후에 하세요.

 

사업자 정보 표시
사업자 등록번호 : -- | TEL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