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속에 스며든 오행 이야기
지금도 음식을 만들 때 다섯가지 색깔을 맞춘다.
그 다섯가지 색이 오행을 뜻하는 오행색이다.
오행색은 우리 생활속에 깊숙히 스며들어 지금도 이어지고 있다.
오행은 목화토금수-나무불흙쇠물
오행색은 나무는 파랑, 불은 빨강, 흙은 노랑, 쇠는 하양, 물은 깜장.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오대양(五大洋)
태평양, 대서양, 인도양, 남빙양, 북빙양.
오대주:
아시아주, 유럽주, 아프리카주, 오세아니아주, 아메리카주
오일장(五日場):
닷새(오일)마다 서는 시골장
오장(五臟):
폐장(호흡기), 간장, 심장(순환기), 비장(지라), 신장(비뇨생식기)
오부(五腑):
위(법통), 쓸개(담낭), 소장, 대장, 방광(오줌보)
오색:
노랑, 빨강, 파랑, 까망, 하양
오기(五氣):
바람, 열, 습, 건조, 추움
나무는 바람, 불은 열, 흙은 습, 쇠는 건조, 물은 추운 것
오지(五志):
화내고, 기뻐하고, 생각하고, 우울하고, 두려운 것.
나무는 화내는 것이고, 불은 기뻐하는 것이고, 흙은 생각하는 것이고, 흙은 생각하는 것, 물은 두려운 것.
오미(五味):
시고, 쓰고, 달고, 맵고, 짠 것.
나무는 시고, 불은 쓰며, 흙은 달고, 쇠는 맵고, 물은 짠 것.
오취(五臭):
누런 냄새, 탄 냄새, 향기로운 냄새, 비린 냄새, 썩는 냄새.
나무는 누런 냄새, 불은 탄 냄새, 흙은 향기로운 냄새, 쉬는 비린 냄새, 물은 썩는 냄새.
오시(五時):
봄, 여름, 늦여름, 가을, 겨울.
나무는 봄, 불은 여름, 흙은 늦여름, 쇠는 가을, 물은 겨울.
오방(五方):
동쪽, 남쪽, 중앙, 서쪽, 북쪽.
나무는 동쪽, 불은 남쪽, 흙은 중앙, 쇠는 서쪽, 물은 북쪽.
오상(五常):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인은 어질고, 의는 의롭고, 예는 예의롭고, 지는 알고 있음이고, 신은 믿음.
나무는 어질고, 불은 예의로우며, 흙은 믿음이 있고, 쇠는 의로우며, 물은 알고 있음이다.
오규(五竅):
눈 혀 입 코 귀.
눈은 나무, 혀는 불, 입은 흙, 코는 쇠, 귀는 물.
오체(五體):
근육, 피(혈액), 살(육肉), 뼈(골骨), 피부(피皮).
근육은 나무, 피는 불, 살은 흙, 피부는 쇠, 뼈는 물.
오곡(五穀):
보리, 수수, 서숙, 쌀, 콩.
보리는 청색이니 나무, 수수는 붉으니 불, 서숙은 누런색이니 흙. 쌀은 흰색이니 쇠, 콩은 검은색이니 물.
오축(五畜):
닭, 양, 소, 말, 돼지.
닭은 나무, 양은 불, 소는 흙, 말은 쇠, 돼지는 물.
오복(五福):
수(壽 ), 부(富), 강녕(康寧), 유호덕(攸好德), 고종명(考終命).
수란 오래 사는 것, 부란 잘사는 것, 유호덕이란 도덕을 지키는 것을 즐거움으로 삼는 것, 고종명은 제명대로 살다가 편히 죽는 것.
★위 글은 임광자 지음, 생활생물 에세이 시리즈 1권 "동형동기(同形同氣)" 131~132쪽에 나오는 글이다. 동형동기란 같은 모습은 같은 기를 갖는다는 뜻이다.
★만약에 동형동기 책을 갖고 싶고 다른 임광자의 책들이 궁금하시다면
"임광자 책 주문하기"로 들어가 보세요.
'창복원 > 생명의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족이 비슷한 목소리를 내는 이유 (0) | 2014.09.28 |
---|---|
음양(陰陽) 글자 풀이 (0) | 2014.09.13 |
항생제(주사나 연고 먹는 약)는 어떻게 상처를 치료할까? (0) | 2014.08.29 |
약을 계속 먹으면 왜 약효가 떨어질까? (0) | 2014.08.27 |
말띠 소띠 범띠 등은 어디서 왔을까? (0) | 2014.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