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마다 치아 수가 다른 것은 사랑니 수 때문이다.
우리들의 치아를 자세히 말하면
앞니가 4개, 송곳니가 2개, 작은어금니가 4개. 큰어금니가 6개이다.
즉 아랫니 수를 식으로 나타내면 2:1:2:3이고
윗니 수를 식으로 나타내면 2:1:2:3 이다.
이 수치는 우리들의 치아의 반쪽 수다.
치식에 있는
아랫니 수를 합하면 2+1+2+3=8,
윗니 수를 합해도 2+1+2+3=8
위아랫니 수를 합하면 8+8=16
반쪽 치아 수이니까 전체 수를 알려면 16+16=32
사람의 치식에 나타난 수로 보면 우리들의 치아 수는 32개이다.
그러나 자신들의 치아수를 세어보세요?
32개 맞나요?
어쩌면 거의가 32개가 안될걸요.
왜 그럴가요?
그것은 치식의 맨 끝에 나오는 3개라는 큰어금니 수에
문제가 있어서에요.
큰어금니 속에 사랑니가 포함되어요.
위아래 양쪽에 하나씩 날 수 있는 사랑니 수에요.
사랑니가 모두 나면 4개에요.
사랑니가 하나도 안나면 28개의 치아 수를 가져요.
사랑니가 하나 나면 28+1=29개의 치아 수를 가져요.
사랑니가 2개나면 30개의 치아 수를 가지고요.
사랑니가 3개 나면 치아 수는 31개에요.
사랑니가 4개 다 나면 치아 수는 32개지요.
사랑을 알 때 나서 사랑니 일까,
사랑니는 퇴화해 가는 치아라서
제자리를 잘 못 찾아 나거나
반듯하게 나지를 못해서
나자마자 없애버리는 경우가 많아요.
나도 평생 말썽을 피우거든요.
뽑아도 그 자리가 파여서 말썽꾸러기에요.
옛날에는 현미더러 옥식이라 했으니
얼마나 거칠은 밥을 먹었는지 알 수가 있지요.
그래서 밥을 꼭꼭 씹어야 하였기에
치아가 튼튼하고 수가 많았어요.
그러나 근대에 오면서 음식이 부드러워지고
밥의 재료도 거칠은 잡곡이 아니고
현미도 아니고 백미라서
치아의 할 일이 작아져
맨 뒤에 나던 큰어근니의 하나가 퇴화되어 가서
사랑니가 되어 슬픈사랑니가 되어서
잘 나지를 못하고 나더라도 금방 없어버릴
운명에 처하게 되었지요.
우리들의 치아 수는 일반적으로
28개 + 사랑니 수랍니다.
아마도 28개의 치아를 가진 사람이 많을거에요.
'(구)인체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백질은 오래도록 열을 가하면 단단해진다 (0) | 2004.07.29 |
---|---|
음식이 목구멍을 넘어 갈 때에 숨을 못쉬는 이유? (0) | 2004.07.27 |
귀청 떨어지겠다 조용히 말해요. (0) | 2004.07.07 |
방울방울 떨어지는 빗방울을 빗줄기로 보는 이유는? (0) | 2004.07.06 |
우리 가슴통은? (0) | 2004.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