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구가 태양을 도는 길을 황도라고 한다.
황도에는 열두 개의 별자리가 있어 황도 십이궁이라 한다.
황도십이궁의 이름은 서양의 수대에는
전갈자리 사자자리 물병자리 등으로 불리지만
그 수대의 별자리를 바깥쪽으로 연결하면
동양에서 말하는 십이지띠에 있는 동물이름의 형태가 나타난다.
임광자 저서 동형동기 표지에 그림이 있다.
목성을 세성이라 한다.
목성이 동방에 나타나면 새해가 된다.
목성은 동지지절에 동쪽에 나타난다.
동지는 하루의 낮이 가장 짧다.
동지 다음부터 낮이 길어져
고대에는 동지 다음날이 새해 첫날이었다.
동지지절에 동방에 목성이 나타나서 세성이라 한다.
또한 동방에 목성과 함께 나타나는 황도십이궁 별자리 이름에 따라
그 해의 띠가 결정된다. 말띠, 소띠, 토끼띠. 개띠 등으로
그러나 그 후 새해가 입춘지절로 변경되었다.
왜냐하면 일 년 계획을 세우고 농사 준비를 하려면
동지지절은 너무 춥기 때문에 입춘지절로 바뀌었다.
동지 다음에 새해였다는 것은
고대 동양에서는 태음력을 사용하였다.
음력으로 자월 즉 십이지에서 가장 처음 오는 자월이 바로 동짓달이다.
십이지는 자축인묘 진사오미 신유술해 열두 개다.
자세한 내용은 동형동기 책에 나온다.
블로그에서는 초고맛보기에서 찾을 수 있다.
사업자 정보 표시
사업자 등록번호 : -- | TEL : --
'창복원 > 창복원 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 구매자와의 문답 공부방 (0) | 2023.01.03 |
---|---|
올해가 검은 토끼 해인 이유 (2) | 2023.01.01 |
입춘대길 건양다경 立春大吉 建陽多慶 (0) | 2022.02.01 |
올해가 임인년으로 검은 호랑이 띠가 된 이유 (0) | 2022.02.01 |
설! 무슨 뜻이지? (0) | 2021.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