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기세포
“할머니! 줄기세포라는 말이 유행인데 어떤 세포인가요?”
“지금 네 몸 속에 줄기세포가 있어.”
“네.”
“혈액 속에는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이 있는데 이들은 모두 세포 야. 이들은 오래 살지 못해서 죽어가지만 언제나 일정한 수를 유지하는 것은 계속 만들고 있기 때문이지.”
“맞아요. 적혈구는 3~4개월 살면 간과 지라에서 잡혀 먹혀요.”
“백혈구는 세균이나 이물질을 잡아먹다 죽고. 혈소판은 혈관에 상처가 나면 그곳을 메우다 죽어.”
“그렇게 죽는데 왜 수는 일정하게 유지되지요?”
“바로 혈구를 생산하는 골수에 적아세포(赤芽細胞)라는 줄기세포가 있기 때문이야.”
“적아세포요?”
“적색골수에 있는 혈구를 만드는 줄기세포를 말해.”
“적색골수요?”
“골수에는 황색골수와 적색골수가 있는데 혈구는 적색골수에서 만들어.”
“적색골수는 뭐고 황색골수는 무어예요?”
“적색골수는 붉은 골수를 말하고 황색골수는 누런 골수를 말하는데 바로 누런색은 지방덩어리야.”
“골수에 지방이 쌓인다는 거네요?”
“적색골수는 젊은 골수로 건강한 골수고 황색골수는 늙은 골수로 지방이 쌓여서 혈구를 생산하지 못하는 골수지.”
“또 어디 있나요?”
“우리 몸 여기저기 있어. 예를 들면 표피의 맨 위는 각질층인 것은 알고 있지.”
“각질층 맨 위가 떨어져 나와 때가 되지요.”
“그래 각질층은 방수작용을 해서 우리 몸을 보호해.”
“그렇지만 목욕할 때 밀어 버리지요.”
“각질층을 밀어버리면 피부가 보호층이 없어져서 세균의 침입을 받아 피부병이 걸리기도 해. 그래서 밀지 말고 샤워만 하라고 하거든.”
“각질층의 맨 위는 계속 벗겨져 나가는데 어디서 보충해요?”
“표피 맨 아래 세포들이 계속 세포분열을 해서 위로 밀어 올려서 각질층을 유지하도록 해.”
“그럼 표피의 맨 아래층 세포가 줄기세포네요.”
“맞아. 위장(胃腸)의 내벽의 세포들은 소화액으로 인해서 계속 죽어가고 다시 만들어 내고 하니 거기에도 줄기세포는 있어.”
“신문에서 읽었는데요. 배반포세포가 줄기세포라고 하던데요.”
“배반포 세포는 전천후 줄기세포지.”
“전천후 줄기세포요?”
“표피세포의 줄기세포는 표피세포만 만들어내고 골수 속 적아세포는 혈구세포만 만드는 줄기세포지.”
“그럼 전천후 줄기세포라는 것은 무슨 뜻이지요?”
“자세한 것은 –우리 몸의 비밀을 찾아서 시리즈- 3권에 나와.”
“3권 책을 읽을 테니 아주 간단하게 설명해 주실래요?”
“수정란→난할→상실기→포배기→낭배기→배엽형성→기관형성을 거쳐 한사람이 되어 세상에 나와. 이 과정에서 포배기에 배반포가 있는데 그 세포가 전천후 줄기세포야.”
“왜 포배기의 배반포 세포가 전천후 줄기세포가 될까요?”
“포배기에서 낭배기로 들어가면 세포들의 운명이 결정되거든. 포배기는 아직 세포들의 운명이 결정되지 않아서 우리 몸 어느 곳으로 가든 그곳의 세포로 발전하기 때문에 전천후 줄기세포라고 말해.”
“난할은 뭐에요?”
“수정란이 크기는 그대로면서 세포분열을 계속하는 것을 말해. 이 때 새로 생기는 세포들은 점점 적어지고 수는 많아져.”
“상실기는요?”
“난할을 계속해서 전체 모양이 뽕나무의 오디 모양이 되는 시기를 말해.”
“포배기는요?”
“상실기에도 계속 세포분열을 해서 새로 생긴 세포들이 너무도 작아서 수정막 안쪽에 쫙 배열되고 속은 비어서 액체로 채워지는데 포배강이라고 하는 시기야.”
“낭배기는요?”
“포배기에서 더 이상 새로 생기는 세포가 배열 할 수 없어 한쪽에 세포덩이가 생기고 그걸 배반포라고 하고 그쪽이 포배강 속으로 함입해 들어가는 시기야.”
“그럼 배반포는 포배기 후반에 생기네요?”
“정확히 말하면 그래. 낭배기와 포배기 사이에 생기지. 낭배기에 세포들의 운명이 결정돼.”
“세포들의 운명이요?”
“신경세포, 혈액세포, 근세포, 뼈세포 등등으로 살아가도록 운명이 결정된다는 말.”
“어떻게 그럴 수 있어요?”
“우리 몸의 모든 세포는 수정란 하나에서 와서 유전자를 다 가지고 있지만 신경세포는 신경세포로 살아갈 유전자만 활성화 시키고 나머지 유전자는 불활성화 시켜버려서 신경세포로만 살아가는 것을 운명이 결정되었다고 말하는 거야.”
“네.”
“세포들의 운명이 결정되기 전의 포배기의 배반포 세포들은 신경조직 속에 이식되면 신경세포가 되고 뼈조직 속에 이식하면 뼈세포가 될 수 있기 때문에 만능 줄기세포지.”
“그렇군요.”
★위 글은 다음주에 나올 -세포의 삶 개정판-에 나오는 글입니다.
'창복원(생생연) > 생명의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동맥궁 (0) | 2015.07.09 |
---|---|
우리 몸의 파수꾼 백혈구 (0) | 2015.05.16 |
세포질의 무기호흡은 해당과정 (0) | 2015.04.20 |
세포는 무기호흡→유기호흡으로 에너지 생산 (0) | 2015.04.17 |
일을 많이 하는 세포일수록 미토콘드리아 수가 많다. (0) | 2015.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