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창복원(생생연)/책 출판 이야기

세포의 삶 두 번째 목록: -세포의 먹이-

by 임광자 2013. 1. 10.

세포의삶 두 번째 목록:-세포의 먹이-


-우리 몸의 비밀을 찾아서-시리즈 1권의 제목은 -세포의 삶- 이다.


-세포의 삶-


차례 목록에서

첫째 목록:

-세포의 발견-

이 부분에서는 로버트 훜이 죽은 식물 세포의 세포벽을 1665년에 발견된 후에 식물의세포가 발견되고 동물의 세포가 발견되고 모든 생물은 세포로 되었다는 -세포설-이 제창되었다. 세포내소기관들이 발견되고 기능과 구조도 계속 밝혀져 세상에 알려지게 된 과정을 요점만 이야기 할 것이다.



두 번째 목록:

-세포의 먹이:
여기서 문제가 나타난다.

세포의 먹이와 밥상은 아주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밥상을 이곳에 넣을까 소화계에서 다룰까 그것이 문제다.


만약에 밥상을 넣는다면 밥상에 오른 단백질에 대해서 설명할 때 단백질은 아미노산으로 만들어지고 아미노산은 식물이 생합성을 하고 동물은 식물이 만든 단백질을 소화시켜 아미노산으로 만들어 흡수해서 아미노산을 자신의 유전암호에 따라 줄줄이 구슬을 꿰듯이 꿰어 단백질로 만들어 사용하는데 식물이 아미노산을 생합성 하는 단계부터 설명할 것인지, 아미노산을 생합성하려면 광합성과 호흡이먼저  일어나야 하니 광합성과 호흡도 설명해야하는지 아직 결정을 못해서 스토리 구성을 못하고 있다. 아미노산과 포도당 생합성과 호흡은 어려운 부분이니 따로 분리해서 한권의 책으로 만들까?


요즘 채식을 주로 하는 식단이 성인병에 좋다고 하는데 왜 그럴까?

우리가 필요로 하는 영양소의 생합성은 식물이 하기 때문?

동물은 영양소의 기본단위로 조립을 할 뿐이다.


 

 

나는 왜 이렇게 복잡하게 생각할까?

 

오늘은 여기까지 생각....


2013.01.10.  林 光子




사업자 정보 표시
사업자 등록번호 : -- | TEL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