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의 그림은 우리 몸에서의 신장의 위치와
신장 위에 모자처럼 있는 부신을 나타낸다.
부신은 호르몬샘이고, 신장은 배설계로서 오줌을 생산해요.
둘은 전혀 다른 기관이지요. 서로 이웃해서 살지만...
위의 그림은 부신피질에서 분비되는 세가지 호르몬 중에서
당코르티코이드 호르몬의 작용을 나타내는 모식도에요.
그림을 보세요.
우리가 스트레스를 받거나 신체 리듬에 의해서
시상하부에서는 부신피질호르몬방출호르몬을
생산분비해요. 그 호르몬은 뇌하수체 전엽
즉 선하수체로 내려가요.
그림에서 놔하수체를 전엽은 선하수체로
후엽을 신경하수체로 표시했네요.
시상하부의 명령을 받은 뇌하수체 전엽에서는
부신피질 자극호르몬을 생산분비하면
그 호르몬은 혈액 따라 흘러서 콩팥 위에 모자처럼
올려져 있는 부신의 겉 즉 피질로 가서는 호르몬
생산세포들을 자극해요.
얼른 일어나 부신피질 호르몬을 생산하라고요.
부신을 절단하여 보면 겉과 속의 부분이 전혀 다름을 알 수 있어요.
그림을 보세요.
부신피질에서 생산 된 당 코르티코이드는
근육으로 가서는 근세포를 이루고 있는 단백질을 분해하여
아미노산을 방출하게 하고요.
지방세포로 가서는 자유지방산을 내 놓게 해요.
또한 간에 가서는 아미노산에서 아미노기를 떼어버리는
탈 아미노반응을 시키지요. 아미노산에서 아미노기가 떨어져 나가면
유기산이 되지요. 유기산은 포도당이 분해되어 생기는 물질이지요.
따라서 이렇게 해서 생긴 유기산으로 포도당을 만들어요.
그럼 혈당량이 증가해요.
부신피질에서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을 생산하고 종류로는
코르티죤과 알도스테론과 안드로겐이 있지요.
★코르티죤→ 주로 당대사에 관여하므로 당 코르티코이드라고 하지요.
하지만, 코르티죤은 몸에 상처를 입거나 몸이 세균에 감염되면,
육체적으로 유독하고 유해한 자극을 받으면 이에 대처하는 일을 하지요.]
실제로 코르티죤은 항염증 반응을 나타내고
항알레르기 효과도 있으므로 널리 이용되는 약물이기도 해요.
우리가 보통 스테로이드호르몬을 너무 사용하면 안된다고
하는 연고제에 코르티죤이 들어가지요.
★알도스테론 →콩팥에서 나트륨 재흡수를 조절하는 호르몬이어서
광질코르티코이드라고 하지요.
부갑상선이 칼슘이온의 농도를 조절하듯
부신피질호르몬은 주로 혈액의 나트륨이온,염소이온,칼륨ㅇ온의 농도를 조절해요.
★안드로겐 →소량으로 분비되는데 남성호르몬이지요.
우리가 갱년기가 되어 생식샘에서 성호르몬의 생산량이 줄어들면
바로 부신에서 나오는 안드로겐이 우리 몸을 건강하게 해줄거에요.
남성들은 생식선에서 안드로겐이 많이 생산되고 부신에서는 소량
생산되어 갱년기에 부신의 안드로겐이 큰 효력을 보지는 못하지요.
성호르몬은 남성을 남자답게, 여성을 여성답게 만들어 주지요.
그런데 여성에서는 여성호르몬이 남성호르몬 보다 훨씬 많아서
남성호르몬이 능력을 나타내지 못하고 죽어 지내고 있다가
갱년기가 되어 여성호르몬이 거의 생산되지 못하게 되면
그 때 까지 죽어 있던 안드로겐이 소량이지만
기를 쓰고 능력발휘를 해서 경년기 이후의 여성들이 갑자기
남성화 되어요. 말하자면 예전의 여성이 아니고 괄괄해져서
,활기찬 남성처럼 되어요. 우리 주위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일이지요.
그 대신 남자는 나이들수록 기가 죽고 누구에겐가에 즉 부인에게
의지하려고 하지요. 그러나 여자는 그 반대에요.
따라서
남자들이여 젊어서 아내에게 잘해서 늙어서 대접 받도록 하소서..
★☆★ 빼 먹을뻔 했내요.
옛 부터 신장이 튼튼해야 한다고들 하더군요.
그 신장에 부신도 포함 될거에요.
신장에 좋은 것은 새우래요.
새우를 먹으면 신장이 강해진다나요.
또한 신장이란 콩팥과 생식기관을 합해서 말해요.
그래서 비뇨생식기라고들 말하지요.
남성에서 특히 그렇지만 .....
갱년기 후의 성호르몬 보충을 위하여....
신장을 튼튼히...
'(구)인체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궁수축호르몬과 오줌 양을 적게 하는 항이뇨호르몬 (0) | 2004.10.25 |
---|---|
부신수질의 호르몬은 긴박한 사태을 해결해주어요 (0) | 2004.10.24 |
췌장에서 생산 되는 인슐린과 글루카곤의 혈당조절 (0) | 2004.10.22 |
부갑상선의 위치와 혈액에 칼슘을 공급하는 파라트로몬 (0) | 2004.10.21 |
갑상선 호르몬인 티록신은 어떻게 체온조절을 할가요? (0) | 2004.10.20 |